• 2023. 7. 2.

    by. 봇물

   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(60개월)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%의 이울을 지급 하며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하는 정부지원제도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
    청년도약계좌 콜센터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상품내용

     

     <가입조건>

     

    1. (나이)만 19~34세 청년 중에서 (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)

     

    2. (개인소득) 총 급여액 7,500만 원 (종합소득 6,300만 원) 이하에 해당하는 자

     

    3. (가구소득)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에 해당하는 자

     

    4. (금융소득종합과세)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

     

     <상품내용>

     

    월 최대 납입 70만 원 5년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 및 금리

     

    은행이자 + 비과세혜택 + 정부기여금 (납입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)

     

   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 제공

     

     <금리>

     

    취급기관(은행)에서 자율적으로 결정 (3년 고정, 2년 변동)

     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, 가입심사, 계좌개설 일정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

     

     

    청년 가입신청 계좌개설 안내( 취급은행)

     

    가입요건 확인 확인결과 통보 개인 및 가구소득 확인(서민금융진흥원)

     

    ※ 개인 및 가구소득 확인 세부 절차 (약 3~4주 소요) ① 나이 및 개인소득 확인 → ② 가구원 확정 및 정보제공 동의 → ③ 가구소득 확인 → ④ 확인결과 통보 * 행정정보공동이용서비스를 통해 전면 비대면 확인 시행(행안부, 국세청, 병무청)

     

    ※ 개인소득은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통해 현행화하여 기여금 지급여부 및 규모 조정

     

     

    ★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 확인 진행 및 계좌개설을 위해서 가구원 모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가구원 동의
    가구원 동의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최대 만기금액 은 얼마일까

     

    월 70만 원씩 5년 동안 적금을 납입하면, 원금은 3500만 원이 됩니다. 여기에 기본금리 4.5%와 우대금리 1.5%를 적용하면, 이자는 1875만 원이 됩니다. 따라서, 5년 후 청년도약계좌의 만기 금액은 총 5375만 원이 됩니다.

    단, 이는 연간 180만 원 이상 적금을 납입하고, 우대금리를 모두 받는 것을 전제로 한 계산입니다. 만약, 우대금리를 모두 받지 못하면, 만기 금액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지원대상 지원내용 전환방법 필요서류

   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지원대상인 저소득 무주택 청년의 주택구매 및 임차자금 마련 지원을 위해 최대 10년간 우대금리 1,5% p를 주고 이자소득에 대해 지원내용인 비과세 혜택과 소득공제 혜택

    kimsook.kimsook.co.kr

     

"); wcs_do();